목차
1. Title
2. Purpose
3. Introduction
4. Reference
1. Title
혈액세포의 관찰 및 혈액형 판정 실험
2. Purpose
혈구관찰을 통해 혈액 구성분의 구조와 기능을 이해하고 혈액형을 분석하여 혈액형의 여러 종류와 차이점에 대해 이해하고 자신의 혈액형을 조사한다.
3. Introduction
혈액은 생명에 필수적인 많은 기능을 수행하고, 우리의 건강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수많은 정보들을 제공해준다. 혈액은 가스와 영양분 그리고 노폐물의 교한, 가공물질의 수송, 조절인자의 수송, pH와 삼투압의 규제, 체온유지, 이물질에 대한 보호, 혈괴형성 등 여러방법으로 항상성을 유지하는데 도움을 준다.
혈액은 세포와 세포 조각들이 포함되어 있는 액체 바탕질로 구성된 결합조직의 한 종류이다. 액체바탕질은 혈장이고, 세포와 세포조각들은 고형성분을 형성한다. 혈장은 옅은 노란색의 액체로 약 91%가 물, 7%가 단백질, 그리고 2%는 이온, 영양물질, 가스, 노폐물, 조절물질과 같은 물질로 구성되어있으며 용해단백질을 포함하고 있다. 혈장단백질에는 알부민, 글로불린, 피브리노겐이 포함되어있다.
혈액은 고형성분(유형성분)으로는 적혈구, 백혈구(과립구, 무과립구), 혈소판이 있다. 각각의 기능은 다음과 같다. 적혈구는 산소와 이산화탄소를 운반한다. 백혈구는 다섯가지 종류가 있고 각각에 따른 기능이 있다. 우선 큰 세포질과립구를 포함하고 있는 과립백혈구에는 호중구, 호염기구, 호산구가 포함되고, 매우작은 과립을 가지고 있는 무과립구에는 림프구와 단핵구가 포함되어있다. 호중구는 미생물이나 다른 물질을 포식하고, 호염기구는 염증에 반응하는 히스타민 분비를 하며 피덩이 형성을 예방하는 헤파린을 분비한다. 그리고 호산구는 알레르기나 천식과 관련된 염증반응에 관여를 하고 특정 기생충을 파괴한다. 무과립구의 림프구는 항체와 미생물을 파괴하는 화학물질을 생산하며 알레르기 반응을 나타내고 이식거부반응이나 암 조절과 면역계통 조절이 관여를 한다. 단핵구는 혈액에서 분화되어 큰포식세포가 되어 박테리아, 죽은 세포, 세포 조각, 그리고 조직 안의 조직파편을 포식작용한다. 마지막으로 혈소판은 혈소판을 형성, 혈액응고에 필요한 화학물질을 분비한다.
적혈구 표면은 항원이라 불리는 분자를 가지고 있고, 혈장은 항체인 단백질을 포함하고 있다. 항체는 매우 특별해서 각각의 항체는 오직 특정 항원하고만 결합한다. 이를 특이성이라고 명한다. 혈장의 항체가 적혈구의 표면에 있는 항원과 결합할 때 그들은 분자 다리를 형성해 적혈구를 함께 연결한다. 그 결과 응집 혹은 세포의 군집이 발생한다. 항체와 항원의 조합은 용혈 혹은 적혈구 파열반응을 유발한다. 적혈구 표면의 항체는 혈액형으로 나누어진다.
혈액형은 혈액표본을 ABO혈액형과 Rh혈액형으로 분류한다. ABO혈액형체계는 사람혈액을 분류하는데 사용된다. ABO항원은 적혈구 표면에 나타난다. A형은 A형 항원을 가지고 있고, B형은 B형 항원을, AB형은 두가지 항원 모두 다, 그리고 O형은 모두 가지고 있지 않다. 또한 A형의 혈장에는 항 B항체가 포함되어있어 B형 항원에 반하여 반응을하고, B형의 혈장에는 항 A항체가 A형 항원에 반하여 반응한다. AB형 혈장은 어떤 종류의 항체도 가지고 있지 않고, O형의 혈장에는 항 A항체와 항 B항체 모두 가지고 있다. 적혈구 표면에 Rh항원을 가지고 있다면 그 사람들은 Rh양성이고, Rh항원을 가지고 있지 않는다면 그들은 Rh음성이다. Rh항원에 반대하는 항체는 Rh음성인 사람이 Rh양성 적혈구에 노출되지 않는 한 만들어지지 않는다.
혈액형을 진단하는 방법은 이와 같다. 전형적으로 세포는 혈청에서 분리하여 세포 표면항원의 종류를 결정하기 위해 공지된 항체로 검사한다. 예를 들면 혈액세포가 A형 항체와 섞었을 때 응고되고 B형 항체와 섞었을때 응고가 일어나지 않는다면 이 세포는 A형 항원을 가진 것을 알 수 있다. 이와 비슷하게 혈청은 혈청에 있는 항체의 종류를 알기 위해 공지된 항원과 섞는다. 따라서 표준 혈청을 이용하면 자신의 혈액형을 알아볼 수 있다.
4. Referece
김덕수/2016/인체 구조와 기능2/정문각/p.379-402
'실험레포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일생실1] 결과레포트 현미경 관찰 (1) | 2023.02.02 |
---|---|
[일생실1] 결과레포트 혈액세포의 관찰 및 혈액형 판정 실험 (0) | 2023.02.01 |
[생공실1] 결과레포트 Recombinant protein overexpression in E. coli strains, Protein purification(Affinity chromatography) (0) | 2023.01.29 |
[생공실1] 예비레포트 Protein purification (Affinity chromatography) (0) | 2023.01.28 |
[생공실1] 예비레포트 Recombinant protein overexpression in E. Coli strains (0) | 2023.01.2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