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Title
2. Materials
3. Methods
4. Results
5. Discussion
6. References
일생실 1 결과레포트 현미경 관찰
1. Title
현미경 관찰
2. Materials
광학 현미경, 슬라이드 글라스, 커버 글라스, 칼, 이쑤시개, 여과지, pipette tip, 메틸렌블루, 아세트산카민, 구강 상피세포, 양파 비늘잎
3. Methods
<양파 표피세포의 관찰>
1. 양파 바늘잎 양쪽에 칼을 사용하여 #자 모양의 칼금을 내고 표피세포층을 벗겨낸다.
2. 슬라이드 글라스 위에 sample을 올려 놓는다.
3. 아세트산카민 용액을 1방울 떨어뜨린 후 3분간 염색한다.
4. 커버글라스를 기포가 생기지 않도록 덮는다.
5. 여과지를 대고 남은 아세트산카민 용액을 정리한다.
6. 현미경을 사용하여 저배율에서 고배율로 관찰한다.
<구강 상피세포의 관찰>
1. 이쑤시개를 사용하여 입 안 뺨 부분을 가볍게 긁는다.
2. 이쑤시개에 묻은 상피세포를 슬라이드 글라스에 한 쪽 방향으로 넓게 편다.
3. 메틸렌블루 용액을 1방울 떨어뜨린 후 3분간 염색한다.
4. 커버글라스를 기포가 생기지 않도록 덮는다.
5. 여과지를 대고 남은 메틸렌블루 용액을 정리한다.
6. 현미경을 사용하여 저배율에서 고배율로 관찰한다
4. Results
Figure.1 : 15배 X 10배 = 150배, 세포벽과 핵이 관찰되며, 붉게 염색됨
Figure 2: 15배 X 40배 = 600배, 핵이 관찰되며 파랗게 염색됨
5. Discussion
현미경을 통하여 양파 표피세포와 구강 상피세포를 아세트산카민고 메틸렌블루로 염색을 하여 식물세포와 동물세포의 차이점을 알아보기 위한 실험을 진행하였다. 위 실험에서 확인한 동물세포와 식물세포의 차이점은 세포벽의 유무였다. 셀룰로오스로 구성된 세포벽이 있는 식물세포는 육각형의 규칙적인 모양이 나왔지만, 동물세포는 세포벽이 없어 대체로 둥글하지만 불규칙적인 모양이 나왔다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광학현미경에서 관찰 할 수 있는 차이점은 이정이지만, 실제로 동물세포와 식물세포의 차이점은 더 존재한다.
염색을 하는 목적으로는 배경과 대조적으로 세포의 내/외부의 구조를 좀 더 잘 볼수있도록함에 있다. 특히 핵의 염색질, DNA를 염색하기 위함으로 DNA는 전체적으로 sugar-phosphate...가 반복되는 구조로 그 중 인산은 -전하를 띠고 있다. 핵(-전하)를 염색을 하기위해서 양전하를 띈 염색약으로는 Basic dyes에 속하는 메틸렌블루와 아세트산카민등이 있다.
이 중 아세트카민은 이온결합으로 이루어져 있는 방향족 화합물로, 양이온이 붉은색을 띠고 있어 전체적으로 붉은색 염색을 이룬다. 식물세포의 경우 청색, 녹색이 많아 붉은 색인 아세트산카민으로 염색하는 경우가 많다. 그리고 메틸렌블루는 진한 청색을 나타내는 염색약으로, 동물세포가 보통 붉은색을 띠고 있기때문에 이와 대비외어 관찰에 용이하도록 동물세포 염색에 자주 쓰인다.
만약에 동물세포를 염색할 때 아세트산카민을 사용한다면, 염색하는 것이 가능은 하겠지만, 동물세포는 혈액이나 혈관세포와 같이 붉은색 계통이 많기때문에 아세트산카민으로 핵을 염색하여 관찰한다면 현미경 관찰 시 용이하지 않을것이다. 따라서 대비를 이루는 푸른계통인 메틸렌 블루로 염색을 하여 용이하게 관찰하기 위해 동물세포를 염색할때에는 메틸렌 블루로 염색을 하는 것이 적합하다.
마찬가지로 식물세포를 염색할때 메틸렌블루로 염색을 한다고 생각을 해보면 이것 또한 염색을 하는것은 가능하겠지만, 녹책의 엽록체를 가지고 있는 식물세포는 녹색과 보색관계인 붉은 색을 써야 관찰에 도움이 되기때문에 푸른계통인 메틸렌 블루로 염색을 하는것보다 붉은 계통인 아세트산카민을 사용하는것이 염색을 하는 목적에 부합하다.
6. References
Joanne Willey, 2020, Prescoott’s Microbiology, McGraw-Hill Education, p.29-31
Bruce Alberts, 2013,필수세포생물학, 교보문고, 4판,Methods in Cell Biology, Volume 115, page 49-53
Lisa A. Urry, 2020, Campbell Biology in Focus, Global Edition,3판,Pearson Education Limited, page 120-149
김관선, 2000, 생명과학실험서, 정문각, p.99-101
'실험레포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일생실1] 예비레포트 광합성 색소의 분리 (0) | 2023.02.03 |
---|---|
[일생실1] 결과레포트 혈액세포의 관찰 및 혈액형 판정 실험 (0) | 2023.02.01 |
[일생실1] 예비레포트 혈액세포의 관찰 및 혈액형 판정 실험 (0) | 2023.01.31 |
[생공실1] 결과레포트 Recombinant protein overexpression in E. coli strains, Protein purification(Affinity chromatography) (0) | 2023.01.29 |
[생공실1] 예비레포트 Protein purification (Affinity chromatography) (0) | 2023.01.28 |
댓글